크몽 서비스 아이덴티티 디자인 리브랜딩
대한민국 1등 프리랜서 플랫폼 크몽은 2012년 재능마켓으로 시작해 13년간 300만 명이 넘는 회원과 50만 명의 전문가가 활동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휴먼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개인 의뢰인부터 기업 고객까지 크몽을 통해 매일 수천 건의 프로젝트가 성사되는 지금, 귀여운 캐릭터는 더 이상 맞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많은 기업 고객과 전문가들이 크몽을 '가볍고 간단한 작업을 맡기는 곳'으로 인식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는 변호사, 세무사, IT 개발사 등 최고 전문가 집단과 함께하며 '프리랜서 마켓'이라는 산업 카테고리 자체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잡은 현재의 비즈니스 본질과 맞지 않았습니다.
저희는 캐릭터 대신 '크몽'이라는 브랜드명 자체를 로고로 활용하는 워드마크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13년간 쌓아온 브랜드 인지도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전문성과 신뢰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었습니다. 새로운 심볼을 만들어 의미를 설명하는 비효율을 피하고, '크몽'이라는 이름 자체가 '전문가 플랫폼'이라는 카테고리를 대표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컬러였습니다. 한국 시장에서 브랜드 간섭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던 노란색을 버렸습니다. 카카오, 배달의민족 등 주요 플랫폼들이 모두 노란색을 사용하며 크몽의 정체성이 희석되고 있었고, 무엇보다 노란색이 주는 가볍고 친근한 이미지가 B2B 고객에게는 신뢰를 주기 어려웠습니다. 대신 프리랜서 마켓과 전문가 플랫폼을 상징하는 초록색, '크몽 그린'을 메인 컬러로 정의했습니다. 그린은 블루처럼 신뢰감을 주면서도 더 혁신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전달합니다. 기존 옐로우의 창의성과 다양성에 플랫폼의 신뢰와 성장을 더한 색상입니다.
워드마크의 핵심은 'K' 디자인에 있습니다. 'K'의 우상향 곡선은 크몽을 통해 성장하는 전문가와 고객을 상징하며, 동시에 다양한 전문가들의 연결과 협업을 표현합니다. 흥미롭게도 이 곡선은 과거 원숭이 캐릭터의 꼬리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브랜드 유산을 완전히 단절하지 않고, 진화의 흔적을 남긴 것입니다. 날카로운 모서리 없이 부드럽게 이어진 글자들은 경계 없는 협업을 의미하며, 안정적인 굵기의 서체는 전문성과 신뢰를 전달합니다.
영문 워드마크와 함께 국문 로고도 개발했습니다. 영문 로고가 글로벌 시장과 B2B 고객을 향한 전문성을 대표한다면, 국문 로고는 개인 사용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전략적 도구입니다. '크'의 'ㅋ'은 우상향 화살표 형태로 성장을 시각화했고, '몽'의 'ㅇ'은 영문 'g'와 유사한 형태로 디자인해 두 로고 간 통일성을 확보했습니다. 상황과 타겟에 따라 영문과 국문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을 구축한 것입니다.
원숭이에서 워드마크로, 노란색에서 초록색으로. 이번 리브랜딩은 크몽이 '의뢰인과 전문가의 성공을 돕는 전문가 플랫폼'으로 명확히 도약했음을 선언하는 작업이었습니다. 친근함보다 신뢰를, 가벼움보다 전문성을 선택한 대담한 변화입니다.
Kmong X Duedance
Kmong
C.E.O : 박현호, 김태훈
Design Director : Myu(박현희)
Brand Lead : Fore(위한솔)
Brand eXperience Designer : Rina(홍수진)
Brand Content Designer : Philip(), Sunny()
Brand Maketer : Rachel(), Dacapo()
Duedance
Founder&Director : 조중현
Identity Design : 조중현, 정승관
Graphic design : 조중현, 정승관, 이정민
motion graphic : 김성우
We chose a wordmark approach, using the brand name "Kmong" itself as the logo instead of a character. This allowed us to leverage 13 years of brand equity while directly conveying professionalism and trust. Rather than creating a new symbol and explaining its meaning from scratch, we made the name "Kmong" itself represent the "professional platform" category.
The biggest change was color. We abandoned yellow, which was causing severe brand interference in the Korean market. Major platforms like Kakao and Baemin all used yellow, diluting Kmong's identity. More importantly, yellow's light and friendly image struggled to convey trust to B2B clients. Instead, we defined "Kmong Green"—a shade symbolizing freelance markets and professional platforms—as the main color. Green offers the same trustworthiness as blue while conveying a more innovative and dynamic image. It adds the values of growth and trust to the creativity and diversity of the existing yellow. The color represents how professionals' creativity (yellow) meets platform trust (green) to create definitive success.
The core of the wordmark is the 'K' design. The upward curve of 'K' symbolizes the growth of professionals and clients through Kmong, while simultaneously expressing the connection and collaboration among diverse professionals. Interestingly, this curve was inspired by the tail of the past monkey character. Rather than completely severing our brand heritage, we left traces of evolution. The smoothly connected letters without sharp corners signify borderless collaboration, while the stable weight of the typeface conveys professionalism and trust.
Along with the English wordmark, we developed a Korean logo. While the English logo represents professionalism for global markets and B2B clients, the Korean logo serves as a strategic tool to approach individual users in a friendly manner. The 'ㅋ' in '크' is designed as an upward arrow visualizing growth, and the 'ㅇ' in '몽' is shaped similarly to the English 'g' to ensure visual unity between the two logos. We built a flexible system that strategically deploys English and Korean depending on context and target audience.
From monkey to wordmark, from yellow to green. This rebranding was a declaration that Kmong has clearly leaped forward as "a professional platform helping clients and professionals succeed." It was a bold transformation choosing trust over friendliness, professionalism over lightness.
Kmong X Duedance
Kmong
C.E.O: Park Hyunho, Kim Taehoon
Design Director: Myu (Park Hyunhee)
Brand Lead: Fore (Wi Hansol)
Brand eXperience Designer: Rina (Hong Sujin)
Brand Content Designer: Philip, Sunny
Brand Marketer: Rachel, Dacapo
Duedance Founder & Director: Cho Joonghyun
Identity Design: Cho Joonghyun, Jung Seungkwan
Graphic Design: Cho Joonghyun, Jung Seungkwan, Yee Jeongmin
Motion Graphics: Kim Sungwoo